본문 바로가기
각종정보

한글 창제의 빛, 백성을 향한 큰 사랑 – 세종대왕 탄신일을 기리며

by 메르세데쓰 2025. 5. 22.
반응형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성군 중 한 분으로 손꼽히는 세종대왕의 탄신일입니다. 5월 15일, 우리는 세종대왕께서 이 땅에 태어나 백성을 위한 위대한 업적들을 남기신 날을 기억하며 그 의미를 되새깁니다.

5월 15일은 세종대왕 나신날 입니다.

세종대왕(世宗大王,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4월 8일 (음력 3월 30일))은 조선의 제4대 임금으로, 재위 기간 동안 정치, 경제, 문화, 과학 등 다방면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특히 훈민정음(訓民正音), 즉 오늘날의 한글을 창제하신 것은 세종대왕의 가장 위대한 업적으로 평가받으며, 이는 단순히 새로운 문자를 만든 것을 넘어 백성들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혁명적인 사건이었습니다.

백성을 어여삐 여긴 마음, 한글 창제의 밑거름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글자를 몰라 겪는 어려움을 깊이 헤아렸습니다. 당시 양반들은 한자를 사용하여 지식을 독점하고 정보를 나누었지만, 대다수의 백성들은 글을 읽고 쓸 수 없어 답답한 현실에 놓여 있었습니다. 이러한 백성들의 고통을 안타깝게 여긴 세종대왕은 누구나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우리만의 글자를 만들고자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했습니다.

그 결과, 오랜 연구와 고심 끝에 1443년 훈민정음 28자를 창제하시고, 1446년에는 그 해설과 용례를 담은 《훈민정음 해례본》과 함께 세상에 널리 알리셨습니다. "어리석은 백성이라도 쉽게 배우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고자 했던 세종대왕의 깊은 뜻은 오늘날 우리가 편리하게 한글을 사용하며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한 토대가 되었습니다.

다방면에 걸친 빛나는 업적

세종대왕의 업적은 한글 창제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 정치 및 경제: 왕권 강화와 백성 중심의 정책을 펼쳐 민생을 안정시키고 국가의 기틀을 튼튼히 했습니다. 조세 제도를 개혁하고 농업 기술 발전을 장려하여 백성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었습니다.
  • 과학 기술: 장영실과 같은 뛰어난 과학자를 등용하여 해시계인 앙부일구, 물시계인 자격루, 천체 관측기구인 혼천의 등 다양한 과학 기구를 제작하게 하여 과학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 문화 예술: 학문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집현전을 설치하고, 다양한 서적을 편찬하여 민족 문화의 발전을 이끌었습니다. 또한 음악에도 깊은 관심을 가져 아악을 정리하고 새로운 악기를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 국방: 북방의 여진족을 토벌하고 4군 6진을 설치하여 국토를 확장하고 백성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힘썼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기억해야 할 세종대왕의 정신

세종대왕의 탄신일을 맞아 우리는 그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 끊임없는 학문 연구 자세, 그리고 혁신적인 정신을 되새겨야 합니다. 세종대왕께서 남기신 위대한 유산은 우리 민족의 자랑이며, 앞으로도 우리가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소중한 가치입니다.

세종대왕 나신 날 제정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은 1982년에 정부에 의해 기념일로 제정되었습니다. 이는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고, 그 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지금 껏 살아왔지만 세종대왕 나신날이 있는지도 몰랐는데 이번 기회에  세종대왕의 업적을 다시 한번 되새기며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한글 세계최강!!!

출처 정보

본 게시글은 아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