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10 파이코인 노드 PC를 직접 제작해볼까? 케이스 선택 서버를 직접 조립하면서 가장 고민이 컸던 부품 중 하나는 바로 케이스였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내가 실제로 구매한 몬스타기어 가츠 X840E 블랙 미들타워 케이스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왜 이 케이스를 선택했나?내가 사용하는 메인보드는 ASUS WS C621E SAGE로, 서버용으로 제작된 EEB 폼팩터 규격입니다.이 보드는 일반 ATX 케이스에는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처음부터 “EEB 지원”이라는 조건은 케이스 선택의 핵심 기준이었습니다.또한, 통풍과 정숙성을 중요시하며 채굴/노드 운영과 cpu채굴시 발열 제어에 적합한 케이스를 찾고 있었죠.제품 스펙 요약모델명: 몬스타기어 가츠 X840E 블랙크기: 476 x 235 x 500mm (L x W x H)무게: 약 9.35kg지원 메인보드: M-IT.. 2025. 5. 16. Pi Node 점수 산정 공식 정복! 노드점수를 높이려면? 🌐 Pi Network에서 왜 Node 점수가 중요할까?Pi Network는 중앙화되지 않은 블록체인을 위해 **전 세계 사용자들이 직접 노드(Node)**를 운영하도록 유도합니다. 이 노드는 블록을 전파하고, 검증하고, 연결을 유지하며 네트워크의 핵심 중추 역할을 합니다.그렇다면 어떤 노드가 더 '좋은' 노드일까요?Pi Core Team은 이에 대해 **점수 시스템(Contribution Score)**을 도입했습니다. 이 점수는 Testnet 노드 평가, 메인넷 진입 우선권, 보상 분배 기준 등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Pi Node 점수 산정 기준Pi Core Team은 총 100점 만점 기준으로 다음 6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점수를 산정합니다.(출처: Pi Network 공식 블로그 및.. 2025. 5. 15. 알리에서 직구한 Intel Xeon Platinum 8160 서버로 Pi 노드 점수 상승 노리기! 1. 들어가며 – 왜 서버급 CPU인가?Pi Network는 이제 단순한 모바일 채굴을 넘어서, 노드 점수 기반 보상 체계를 중심으로 생태계를 키워가고 있습니다.노드 점수는 채굴량 보상, 검증 노드 선정, 생태계 기여 평가에 직접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고성능 하드웨어로 노드 성능을 극대화하는 사용자들도 점점 늘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제가 직접 알리익스프레스에서 Intel Xeon Platinum 8160 CPU 2개를 구매하고 듀얼 서버를 구축하여 Pi 노드를 운영하는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일단 받자마자 무척 당황스럽긴 합니다. 문제는 테스트를 하려면 모든 부품이 와야하는데 걱정이네요 내일이면 자동구매확정이 되어.. 8160이라고 써있어 올바른 제품은 맞긴 하지만 ... 일단 모든 부품이 도착한 것.. 2025. 5. 14. 파이코인 노드 PC를 직접 제작해볼까? 서버용 메인보드 선택 Pi 노드를 운영하면서 느낀 점은, 노드 PC의 성능이 받쳐주지 않는다면, 노드 점수가 일정 수준에서 정체된다는 것입니다. 처음엔 업무용pc(intel i3-)에 노드를 설치해 운영하다 (i7-12700)으로 변경하였고, 사무실의 네트워크 환경이 안 좋아 노드를 집에서 돌려볼까? 라는 생각에 전력 소모 등 여러가지를 고려해 맥미니( M2 pro 10core )를 중고로 구입해 1년 정도 운영을 하였지만, 첫 노드운영시 5점대에서 시작해서 7~8점으로 가다 한동안 횡보하다 5점으로 내려오다 2025년 5월, 12점에 계속 머물러 더이상 상승도 하락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노드 운영을 하면서 중간에 높은 노드 점수를 기대하려면 32코어 64스레드 이상을 맞춰야 한다는 걸 알았습니다. 하지만 고성능 다코어.. 2025. 5. 10.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