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메르세데스입니다. iptime공유기의 NAT설정 메뉴에 있는 DMZ, TwinIP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설정하기에 앞서 이런 기능이 대체 무엇인지 알아봐야 겠죠?
NAT는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약자로.. 말 그대로 네크워크 주소를 변경한다는 것인데요.. 공인ip주소를 사설ip주소로 변경한다는 것 입니다. 이런 기술로 인해 한정된 공인주소를 갖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공유기나 방화벽등 장비를 기준으로 내부/외부를 구분지어 외부에서의 직접적인 접근이 어려운데 꼭 필요한 몇몇 연결된 장비나 pc만 연결해주면 보다 유연한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하나 또는 그보다 적은 공인ip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내부에 접근하거나 포트통신을 해야하기 때문에 설정이 복잡해질 수 있고.. 아무래도 적은 ipaddress수량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를 100%해결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NAT를 언제 설정해야할까요?외부에서(해외나.. 가정집) 회사나 다른 사이트안에 설치되어있는 PC에 원격으로 접근을 해야한다던가 외부와 포트통신이 필요한 장비들.. 뭐.. CCTV같은것들이 해당될 수 있겠죠..
일반적으로는 포트포워딩을 설정해서 특정 몇몇포트들만 설정해도 해결되긴 하지만.. 연결해야 할 Port가 많다거나.. 어떤포트를 열어줘야하는지를 모른다거나.. 공인ip를 통째로 할당해야하는 일이 생긴다면 이 방법을 이용하면 되겠습니다.
설정을 위해서는 일단... iptime유/무선공유기의 관리자 페이지에 접근하시고..
[NAT/라우터 관리] ->[DMZ/TwinIP설정] 으로 들어가서 이곳에서 설정하면됩니다.
그런데 방식이 2가지가 있습니다.두가지 방식의 차이점을 설명드리면..
DMZ - 선택한 pc/장비의 모든 포트를 개방해버리는 것..TwinIP - 공유기에 할당한 ip를 통째로 선택한 pc/장비에 할당해버리는 것
DMZ가 모든포트만 개방한것이고.. TwinIP는 그냥 공유기에 할당한 ip를 복사해서 줘버리는것이죠..
둘 다 비슷하긴 하지만 분명 차이가 있습니다. 트윈아이피설정은 그냥 다 줘버리는 것이라 봐야겠죠..
이렇게 설정을 완료 하셨다면 하단의 적용버튼을 누르시고.. 오른쪽 상단의 [저장]버튼을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 공유기의 WOL기능 활용하기, 외부에서 WOL사용하기 (0) | 2015.07.15 |
---|---|
iptime 공유기로 DDNS설정하기.. (0) | 2015.07.15 |
iptime공유기 9.58펌웨어 업데이트가 올라왔네요!! (2) | 2015.04.22 |
iptime 공유기를 이용하여 IPTV 설정하기 (0) | 2015.04.20 |
iptime 공유기 포트포워딩설정하기(port forwarding) (1) | 2015.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