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메르세데스입니다. iptime 공유기에 있는 포트포워딩(port forwarding)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기술은.. 공유기와같은 장비를 기준으로 외부망에서 내부망으로 접근하려고 할 때 특정포트나 내부망안에 있는 특정ip를 갖는 장비에 연결하거나 접근하려고 할때 유용한 기술입니다.
공인주소가 넉넉하지 않기때문에 이를 보완 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해야할까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iptime 공유기의 관리자모드로 접근을 하신 후 NAT/라우터 관리 메뉴로 들어가시면.. 설정하는 화면이 아래처럼 나오게됩니다.
이것도 어떻게 보면 일종의 방화벽과 같은 기능을 하고 있는 장비이기 때문에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는다면 외부에서 안으로 들어오는 모든 Port가 막혀있게 됩니다.
1:1 NAT와 같은 설정으로 내부망에 있는 특정 PC 1개만 공인IP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설정하여 불편함을 해소하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여러대의 PC나 단말기를 밖에서 제어해야 한다면 불편하겠죠..? 이럴경우 포트포워딩을 설정하시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가령..예를든다면.. 위의 화면을 보시면 밖에서 원격데스크톱으로 내부망내에 있는 PC-1, PC-2 에 접근하려고 할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터미널 Port는 잘 아시다시피 3389번이잖아요?
이럴경우.. 아래처럼.. 설정하면 되겠습니다.
a라는 규칙에 내부망내에 있는 192.168.25.1이라는 ip를 갖는 컴퓨터에 4455번->3389번 Port로 변환하겠다고 지정해주고
b라는 규칙에는 192.168.25.2라는 내부망 주소를 갖는 컴퓨터에 4456번 -> 3389로 설정해준다면..
동일한 공인ip나 도메인을 이용해서 포트번호만 변경해서 둘 다 접근이 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아래처럼.. 윈도우7 에서 원격데스크톱을 이용한다면.. 이렇게 하면 되겠죠? 클론( : ) 하고 뒤에 Port번호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물론.. ip주소는 공인으로 넣어주시거나.. ddns를 설정해 놓으셨다면.. 해당 주소를 넣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아래는 DDNS를 설정해 놓았을 경우 입니다.
연결을 누르면.. 잘됩니다. 물론.. 원격접속을 위한 기본 설정은 되어 있어야 겠죠? 잘 알려지지 않은 특정포트만을 열어두는 것이기 때문에 보안적인 면에도 안전하고요..
이상으로 iptime 공유기 포트포워딩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공유기 9.58펌웨어 업데이트가 올라왔네요!! (2) | 2015.04.22 |
---|---|
iptime 공유기를 이용하여 IPTV 설정하기 (0) | 2015.04.20 |
iptime공유기 아이디(ssid) 숨기기 (11) | 2015.04.08 |
IPTIME 공유기 DDNS 펌웨어 업데이트 안하면 서비스가 종료됩니다. (0) | 2015.03.30 |
인텔 브로드웰 CPU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0) | 2015.03.23 |
댓글